R&D + 2022 + PUBLIC + 21,982㎡
KIST 연구동 환경개선사업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창출하는 연구소는 연구와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능과 안전뿐 아니라, 연구자의 창의성을 높이고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물리·화학·생명과학 등 전통적인 연구의 경계가 사라지는 시대에,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연구실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또한 다양한 연구자들이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공간을 함께 제공해야 합니다.
대면은 모든 감각을 동원할 수 있고, 감정에 호소할 수 있는 주도적 앎의 방식입니다. 우리는 사람과 사람,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면적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기존 연구동의 흐름을 확장하는 새로운 정원과 산책길은 휴식과 여유를 품으며, 본관동의 잔디마당과 함께 연구자 간의 소통과 교류의 장이 될 것입니다. 이곳은 과거와 현재, 일상과 비일상, 사색과 교류, 비움과 채움이 공존하는 유기적 풍경을 가진 포용적 공간으로, 지식 공동체로 확장됩니다.
연구소는 미래를 준비하는 시설로서, 사용자와 업무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합니다. 이에 우리는 ‘FUTURE LAB’ 개념을 통해 유연한 연구공간과 균질한 환경을 제공하여 다양한 연구 요구를 충족시키고, 지속가능한 연구 환경을 제안하였습니다. 연구공간의 고정 요소인 설비 공간을 서비스 갤러리(Service Gallery)에 배치하여 공간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균등한 모듈화 시스템을 통해 변화하는 연구 패러다임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연구소를 구현하였습니다.
변화하는 지식의 공동체를 위한 공간
전면 보행광장은 보행로의 기능을 넘어 문화 중심공간으로 개념을 확장
수직으로 확장되는 캠퍼스
융합과 확장의 배치: 외부공간의 성격을 규정짓고 연계하여 다양한 연구자들의 융합이 가능하도록 계획
한국과학기술원의 중심을 생각하다
캠퍼스 중심에 위치한 L2연구동은 다른 영역과의 동선 통합 및 연계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진입도로 정면에 위치하고 있어 한국과학기술원의 미래를 상징하는 랜드마크가 되어야 합니다.
테라스: 공유와 전이의 외부공간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외부 공간 계획
대면 공동체에서 지식 공동체로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허물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면적 공간을 만들고자 합니다. 기존 연구동의 확장된 흐름 속에서 새롭게 조성되는 휴식과 여유의 정원, 그리고 산책길은 본관동의 넓게 비워진 잔디마당과 함께 소통과 교류의 장으로 기능할 것입니다. 또한 이 공간은 과거와 현재, 일상과 비일상, 사색과 교류, 비움과 채움이 조화되는 유기적 풍경을 가진 포용적 공간으로 거듭나며, 궁극적으로 지식 공동체로 확장될 것입니다.
보타닉 홀: 잔디광장의 수평적 자연과 천장산의 수직적 자연을 조화시킨 비일상적 휴식의 공간
보타닉 홀: 잔디광장의 수평적 자연과 천장산의 수직적 자연을 조화시킨 비일상적 휴식의 공간
연구, 문화, 휴식이 어우러진 The Station: 다양성과 복합성을 담은 연구원들의 커뮤니티와 휴식을 위한 통합공간
창의성이 발현되다
새로운 연구소는 연구원분들의 창의적 사고가 자유롭게 발현될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합니다. 기존의 연구실과 실험실처럼 경직된 분위기에서는 자유로운 아이디어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저희는 연구소 곳곳에 다양한 창의 공간을 배치하여 다채로운 비일상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각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접근성과 용도를 세심하게 고려하여 공간의 성격과 규모를 설정하였으며, 우연한 만남과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는 이러한 창의 공간 속에서 연구원분들의 창의력이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유연한 연구 공간
기술 간의 컨버전스 시대에 대응하는 6개의 모듈 시스템으로 구성된 실험 공간
변화와 상징을 담은 파사드: 기존 연구동과의 조화를 이루는 조형과 패시브 디자인의 적용
변화에 대응하다
연구소는 미래를 준비하는 시설로서, 사용자와 업무 영역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에 저희는 모든 공간에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는 유연한 연구 공간을 통해 연구원분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FUTURE LAB 개념을 바탕으로 차세대 연구 시스템을 계획하고자 합니다. 연구 공간의 고정 요소인 설비 공간을 서비스 갤러리에 배치하여 공간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균등한 모듈화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다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형 연구소를 구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