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 2025 + PUBLIC + 2,300㎡
충남대학교 XR 임상교육훈련센터
국립대 최초로 설치되는 XR임상교육훈련센터는 전공의·지역의료진·일반인 등 사용자별 합리적인 공간을 구성하고, 첨단 XR임상교육이 가능한 공간체계를 구축함으로서 수요자 맞춤형 임상교육공간을 설립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훈련센터 부지는 본원과 재활센터 사이의 주요보행동선의 중심에 위치하며, 단지진입 주출입구에 위치함으로써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저희는 XR임상교육 프로그램을 주요 사용자별로 분석하였고, 의사·의대생·일반 이용객 등 사용목적에 따라 전문교육공간과 운영공간, 개방적 임상교육공간으로 구분하여 명확한 기능별 조닝과 합리적인 동선구성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1층 주출입구
2층 후면 진입부
입면 파사드
1층 진입마당
입면 파사드와 조경
2층 후면 진입구
후면 공원에서 바라본 센터
재활센터와 의과대학 캠퍼스의 상징적인 공간
재활센터와 의과대학 캠퍼스 사이에 위치한 이 시설은 의료교육의 상징적 거점으로 계획되었습니다. 전공의, 지역의료진, 일반인 등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합리적인 임상교육 공간을 구성하였으며, 첨단 XR임상교육 기능에 충실한 효율적인 평면체계를 구현하였습니다. 각 공간은 교육과 실습, 교류가 유기적으로 이어지도록 계획되어, 실제 의료현장에 가까운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곳은 캠퍼스의 흐름 속에서 교육, 연구, 실습이 연결되는 열린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북측에서 바라본 단지 배치
남서쪽에서 바라본 센터 전경
재활센터와의 연결통로
옥상 태양광 에너지 설비
기능과 안전을 고려한 열린 배치계획
재활센터와의 적절한 이격배치를 통해 개방감을 확보하고, 환자의 보행 동선이 안전하게 유지되는 외부 공간을 구현하였습니다. 대지의 단차와 연결통로를 적극 활용하여 주변 건물들과 효율적으로 연계하였으며, 캠퍼스 전체의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개방형 교육공간과 전문 임상교육 구역을 명확히 구분하여, 교육의 집중도와 운영 효율성을 함께 확보하였습니다. 이러한 배치는 기능과 안전, 그리고 공간의 개방성이 조화를 이루는 계획으로 완성되었습니다.
방문자를 맞이하는 1층 진입마당:
일반 이용객의 접근성 제고
1층 진입마당:
일반 이용객의 접근성 제고
1층 진입마당:
일반 이용객의 접근성 제고
2층 햇빛마당:
의과대, 보건대와 연결
2층 햇빛마당:
의과대, 보건대와 연결
개방형 의료교육과 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평면계획
평면계획은 의료교육 환경 속에서 개방성과 커뮤니티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공간은 세 개의 야외마당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1층의 진입마당은 방문객을 맞이하는 열린 공간이며, 2층의 소통마당은 본원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햇빛마당은 의과대학과 보건대학을 이어주는 매개 공간으로 계획되었습니다. 이러한 마당들은 이용자 간의 이동과 시각적 소통,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합니다. 건물 곳곳에는 개방적이고 다양한 휴게공간을 배치하여 자연스럽게 머물고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학습이 확장되는 공유의 교육 경험을 만들어냅니다.
시뮬레이션실 입구
시뮬레이션실 내부
통로
임상훈련실 내부
임상훈련실 내부
임상훈련실 내부
개방적인 로비 공간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휴게 공간
다양한 행사를 수용하는
266석 규모의 강당
XR 임상교육에 최적화된 효율적인 공간
XR 임상교육의 특성과 운영 효율성을 고려하여 공간을 계획하였습니다. 다양한 휴게공간과 부대시설을 배치해 사용자의 동선을 유연하게 연결하고, 학습과 휴식이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교육의 집중도를 높이는 동시에, 캠퍼스 전체의 활력을 확장하는 역할을 합니다.